어떤 모니터를 구매할지 고민 중이기에 지금 패널에 대한 검색을 하고 있을거다. 그렇다면 먼저 질문을 던져보자. 당신은 어떤 목적으로 LCD 모니터를 구매하려고 하는가? 게임, 영상 감상, 사무용 중 어떤 목적인가? 가격대를 비롯해서 밝기, 색감, 화질, 응답 속도 등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많이 있지만 시간이 없다면 아래 표만 보고 결정해도 무방하다.
그런데 이게 보편적인 특징이라 딱 들어맞는 건 아니다. 각 패널 제품군 내에서도 고사양과 저사양의 차이가 제법 많이 나는 편이기 때문이다. 결국에는 돈이 문제다. 얼마나 투자할 수 있는지 자금 여력에 따라 선택지는 또 달라진다. 그럼 TN, VA, IPS 패널의 종류를 알아보고 어떤 제품을 고를지 기준을 정해보자.
*일반적인 장단점으로 분류되는 항목들을 실제 사용 경험에 비추어 비교할테니 도움이 되길 바란다.
TN 패널
장점
- 빠른 응답 속도
1ms의 빠른 응답 속도와 더불어 144Hz 이상의 높은 주사율을 보여준다. 그래서 배틀그라운드, 오버워치와 같은 FPS 게임과 워크래프트, 롤처럼 대전형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한다. e스포츠에 출전하는 대부분의 프로게이머들이 아직도 많이 사용하고 있는 패널이다. 물론 비싼 고급 패널이다. - 저렴한 가격
사실 많은 사람들이 TN 패널을 선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가성비 때문이다. 당장 검색을 해보면 알겠지만 저렴하다 싶은 제품은 대부분 TN 패널을 사용한다. 동일한 응답 속도와 주사율을 가진 제품이라면 구매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만큼의 가격 차이가 날 정도이다.
단점
- 좁은 시야각
최고의 가성비를 가지고 있음에도 선택받지 못하는 치명적인 단점이라고 말한다. IPS의 시야각이 178도인데 반해 160 ~ 170도의 시야각을 가지고 있다. TV는 누워서 보거나 삐딱하게 앉아서 보는 경우가 많기에 불편할 수 있다. 하지만 모니터는 대부분 정면으로 바라보면서 사용하기 때문에 개인적인 경험상 크게 불편했던 적은 없다. 이건 개인차가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딱히 정답이 없다.
VA 패널
장점
- 높은 명암비
기본이 3000:1 이상으로 명암비가 타 패널에 비해 월등히 높다. 명암비가 높을수록 화면이 밝기 때문에 같은 영상이라도 그 차이가 뚜렷하게 느껴진다. 낮은 명암비에서 높은 명암비의 화면을 보면 밝아졌다는 느낌만 받을 수 있지만, 반대의 경우라면 역체감이 상당하다. 화면이 뿌옇게 보이는 것 같고 아주 답답하다. 소위 말하는 쨍한 화면을 선호한다면 5000:1의 제품을 선택하자.
단점
- 느린 응답속도
빠르게 화면이 전환되는 경우에 잔상이 나타난다. 동체 시력이 뛰어난 사람이라면 더욱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다. 과장해서 표현하면 애니메이션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표현할 때 그 뒤에 잔상이 생기는 현상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IPS 패널
장점
- 넓은 시야각
거의 180도로 상하좌우에서 봐도 좋을만큼 시야각이 좋다. 그런데 사실 이건 구매에 있어 크게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누워서 모니터를 보며 작업하는 사람이 어디 있단 말인가. - 높은 색재현율
색표현력이 가장 뛰어나다. 밝기는 보통 250 ~ 350cd 사이의 제품이 많은데 TN의 밝기가 IPS보다 밝아도 화면만 밝을 뿐 실제 색상을 비교해보면 차이가 확연하다. 그래서 영상 감상용으로 많이 쓰인다.
단점
- 빛샘 현상
고질병이지만 밝은 환경에서 사용한다면 크게 불편하지 않다. 굳이 확인하고 싶다면 어두운 곳에서 검은색 화면을 띄워놓고 화면 끝부분을 보면 된다. - 느린 응답속도
VA와 마찬가지로 응답속도가 대부분 4 ~ 5ms로 느린 편이다.
장황하게 각 패널별 장단점에 대해 늘어놓기는 했는데 앞서 언급했듯이 LCD 모니터의 기술이 발전했기에 패널 종류에 따른 차이점을 크게 느낄 수가 없다. 고가 라인 또는 저가 라인의 여부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결국 앞서 언급했듯이 지불할 수 있는 금액에 따라 선택의 기준이 달라진다.
'컴퓨터 > 컴퓨터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초보를 위한 하드웨어 용어 설명 (0) | 2023.03.08 |
---|---|
FHD, QHD, UHD 차이점 및 선택 기준을 알아보자 (0) | 2023.03.06 |
USB 3.0과 3.1 버전별 속도 차이 (0) | 2023.03.01 |
인텔과 라이젠 CPU의 기초적인 비교 (0) | 2023.02.27 |
댓글